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위험도 기반의 우선순위 결정


Risk(위험도) = Likelihood(발생 가능성) x Impact(발생 시 심각도)


  • 발생 가능성 : 소스 코드의 복잡도, 구현 난이도, 테스트 대상 기능의 구현 크기(소스 코드 라인수), 해당 모듈을 개발한 개발자의 수준 등의 기술적인 내용을 통해서 판단
  • 발생 시 심각도 : 장애 발생시 비지니스적으로 끼치는 타격 기준

  • STA(Servere Test Area) :  발생 가능성도 크고, 발생 시 타격이 큼
  • SSTA(Strong Test Area) : 발생 가능성은 작지만, 발생 시 타격이 큼
  • ITA(Intensive Test Area) : 발생 가능성은 크지만, 발생 시 타격이 작음
  • FTA(Fundamental Test Area) : 발생 가능성도 작고, 발생 시 타격도 낮음

단위 및 통합 테스트 케이스 진행 : STA -> ITA -> SSTA -> FTA
하이레벨 테스트 단계(시스팀 및 인수 테스트) : STA -> SSTA -> ITA -> FTA



복잡도 기반의 우선순위 결정

코드의 복잡도가 높을수록 결함의 발생 확률이 높아짐

코드의 복잡도 측정하는 방법 : 순한 복잡도 (Cyclomatic Complexity)

이론적으로는 코드 분기가 많으면 코드의 복잡도가 높아짐


코드 복잡도 도구



'Software Quality Engineering > ⓣⓔⓢⓣ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테스트 도구] 결함 관리 도구  (0) 2017.11.21
[테스트] 테스트 커버리지  (0) 2017.11.21
[테스트] 테스트 프로세스  (0) 2017.11.18
[테스트] 코드 리뷰  (0) 2017.11.17
[SCRUM] 이슈 종류  (0) 2017.11.16
블로그 이미지

뚱땡이 우주인

,