ⓟrogramming/DataBase
[데이터베이스] RAID - 디스크 이중화로 데이터 손실 방지하기
뚱땡이 우주인
2017. 11. 3. 12:21
"데이터 손실 방지"는 장애 대책 중에서도 특지 중요하다. 데이터를 읽어 버리면 비록 서버가 복구되었다 해도 필요한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서비스를 계속할 수 없기 때문이다.
RAID
현재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HDD에 저정돠는 것이 보통인데 HDD는 하드웨어 중에서 가장 고장률이 높은 부품이다. 그래서 하나의 서버에 여러 개의 HDD를 탑재하고 동일한 데이터를 두 개 이상의 HDD에 분산시키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기술을 RAID 라고 한다.
기준은 용량에 여유가 있으면 RAID1, 없는 경우는 RAID5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.
방식 |
설명 |
RAID 0 (스트라이핑) |
복수의 HDD에 데이터를 기록하여 일고 쓰기를 고속화, 이용 가능 용량은 디스크의 개수만큼 |
RAID 1 (미러링) |
두 대의 HDD에 동일 데이터를 작성, 이용 가능 용량은 디스크수의 절반 |
RAID 5 |
오류 정정 부호인 패리티 데이터와 함께 분산하여 기록, 이용가능 용량은 N개의 경우 N -1 |
RAID 6 |
오류 정정 부호인 패리티를 두 개 생성하고 분산 기록, N -2 |